1. 소개 + 사업 서비스
1.1 소개
1872년 설립된 킴벌리클라크는 미국의 위생용품 기업입니다. 퍼스널케어, 컨슈머 티슈, KC 프로페셔널 3 부분으로 운영됩니다. 퍼스널케어 부문은 하기스 같은 일회용기저귀, 수용복, 아기 물티슈, 여성 요실급관련 제품 등을 판매합니다. 컨슈머티슈 부문은 크리넥스, scott 같은 욕실 티슈, 종이 타월 등 관련 제품을 판매합니다. KC프로페셔널 부문은 와이퍼 티슈, 수건, 의류 등을 판매합니다.
1.2 사업 서비스
종이를 재료로 한 제품을 소비재를 생산하는 만큼 '퍼스널케어' 제품이 매출의 반을 차지할 정도로 높습니다. 그 뒤를 '컨슈머 티슈' 제품이 32% 차지하고 있습니다. 크리넥스, scott 같은 'K-C professional' 제품은 17%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판매 지역으로는 미국 외 전세계에 판매하는 수량만큼 미국에 똑같이 판매하고 있습니다. 48%:48%... 미국의 엄청난 소비력이 대단합니다.
2. 경쟁사 정보
킴벌리클라크 경쟁사로는 프록터앤갬블(PG), 콜게이트 팜올리브(CL), 크로락스(CLX), 처치 앤 드와이트(CHD)가 있습니다.
시가총액으로는 프록터앤갬블(PG)이 압도적입니다. 나머지 4개를 다 합해도 반도 안됩니다. 자산, 자본, 자본금, 부채 모두 압도적입니다. 5 개 전분 경기방어주(Consumer Defensive)인데 분산 투자시 PG와 킴벌리 클라크는 무조건 투자하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3. 주가 정보
필수 소비재인 킴벌리클라크 주가는 현재 127.78 달러입니다. 아래 50년 차트를 보면 알겠지만 우상향하는 좋은 차트입니다. PER는 무려 24배입니다. 경쟁사들은 프록터앤드갬블 24배, 콜게이트 팜올리브 24배, 크로락스 38배, 처치 앤드 드와이트 22배입니다. 배당콜렉터인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건 배당수익률이죠. 킴벌리클라크 배당수익률은 3.62%입니다. 1년 4.62 달러의 배당을 지급받습니다. 또한 투자의견은 중립이네요.
앞서 포스팅했던 애브비와 비슷한 모양의 차트입니다. 과거부터 꾸준히 우상향하여 현재가 고점입니다.
4. S&P 기업 등급 + 주주정보 (기관투자자)
4.1 S&P 기업 등급
킴벌리클라크의 S&P 기업 등급은 'A' 입니다. A는 '투자적격. 중상위 등급'에 해당합니다.
4.2 주주정보 (기관투자자)
총 발행주식수는 약 3억 4천만개입니다. 그중 기관투자자가 65%를 소유하고 있습니다. 기관투자자 상위권은 역시나 세계 3대 자산운용사 뱅가드 8.07%, 스테이트 스트리트 5.53%, 블랙록 3.59% 씩 지분 소유하고 있습니다.
5. 기본적 분석 (손익계산서, 재무상태표, 현금흐름표)
5.1 손익계산서
* 매출액: 2017년도부터 일정한 모습입니다 18000 ~ 19000 까지 큰폭의 변화 없이 꾸준합니다.
* 매출총이익: 매출액과 더불어 큰폭의 변화가 없습니다. 2020년 잠깐 상승했습니다.
* 영업이익: 매출액, 매출총이익과 마찬가지로 큰 폭의 변화없이 일정한 모습입니다.
* 당기순이익: 2018년 비경상비용에서 많이 빠진것 말고 역시나 일정합니다.
5.2 재무상태표+재무비율
* 자산총계: 계속 우상향 하는건 아니지만 결과적으로 보면 우상향하는 모습입니다.
* 부채총계: 기업의 빚입니다. 일정하게 유지되다가 조금씩 증가했습니다.
* 자본총계: 들쑥날쑥한 모습입니다. 중간에 코로나로 인해 이익이 꽤나 감소했었습니다. 하지만 이후 빠르게 회복했네요.
* 자기자본이익률 (ROE): ROE 15% 이상인 기업이 이상적입니다. 근데 800? 700???? 이 무슨...
* 주가이익비율 (PER): 기업이 1년간 번 이익이 몇 배인지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18 ~ 28 배입니다. 낮을 수록 저평가된 기업입니다.
* 유동비율: 안정성 비율에 속하는 항목입니다. 보통 100% 이상이면 적정합니다. 위 표에는 100이 곱해지지 않았기 때문에 유동비율과 당좌비율에 각각 100을 곱해야 합니다. 비율이 낮다고 해서 기업가치가 훼손되지 않습니다. 73 ~ 89% 입니다.
* 당좌비율: 안정성 비율에 속하는 항목입니다. 당장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입니다. 47 ~ 58 %입니다.
5.3 현금흐름표
* 순영업현금흐름: 5년간 꾸준하게 (+)입니다.
* 순투자현금흐름: 자산이 되는 투자를 잘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라고 해서 꼭 나쁜 건 아닙니다.
* 순재무현금흐름: 보통 (-)가 좋다고 합니다.
우량 기업의 경우 '영업활동현금흐름 +', '투자활동현금흐름 -', '재무활동현금흐름 -' 라고 합니다.
6. 배당 정보
6.1 배당 정보 요약
배당콜렉터인 우리같은 사람들에게 가장 중요한 부분이죠. 킴벌리클라크 배당수익률은 3.63% 입니다. 1년 배당금으로 약 4.64 달러를 받습니다. 5년간 배당 성장률은 3.82%입니다. 배당 성장이 무려 49년이네요. 지난 분기 배당금으로 1.16 달러 지급했습니다.
6.2 배당 성장
2010년부터 2021년까지 배당지급액은 2.53 → 2.68 → 2.83 → 3.1 → 3.25 → 3.52 → 3.68 → 3.88 → 4.0 → 4.28 → 4.56 달러를 배당금으로 받았습니다.
6.3 배당 히스토리
보기에도 흐뭇한 배당 히스토리입니다. 꾸준히 상승하는게 아주 좋습니다.
올해 8월에 1주당 1.16 달러 배당 지급받았습니다. 킴벌리클라크 주가가 높은만큼 받는 배당금도 높네요.
7. 결론 매수? 매도? 유지?
전문가들의 킴벌리클라크 전망, 목표주가는 현재가 127 달러에 근접한 125 달러네요... 그냥 현상태 유지라고 보는거 같습니다.
8. '1억'어치 매수하면 '1년' or '1분기' 얼마씩 받을까?
1. 1년
※ 환율은 대략 1200원 잡고 계산하겠습니다. 1억은 83333달러. 계산 시작
$83,333 ÷ $127.78 × $4.56 = $2,973
대략 256 만원입니다.
2. 1분기
$83,333 ÷ $127.78 × $1.14 = $743
대략 89 만원입니다.
[미국주식/배당킹] 애브비 (ABBV) 기업분석, 주가, 전망, 배당정보, 분기배당
1. 소개 + 사업 서비스 1.1 애브비 소개 애브비는 Abbott Laboratories의 자회사로 2013년 시작되었습니다. 면역학과 종약학에 입지가 있으며, 만성 자가 면역질환, 류머티즘, 파킨슨, C형 간염 등을 치료
finf.tistory.com
[미국주식/배당킹] 스탠리 블랙 앤 데커 (SWK) 기업분석, 주가, 전망, 배당분석, 분기배당
1. 소개 + 사업 서비스 1.1 스탠리 블랙 앤 데커 소개 1843년 설립된 스탠리 블랙 앤 데커는 미국의 세계적인 공구 회사로서 상업분야, 건설분야, 산업분야에 다방면의 엔지니어링 솔루션과 전문적
finf.tistory.com
[미국주식/배당킹] 노스웨스트 내추럴 홀딩 (NWN) 기업분석, 주가, 전망, 배당분석
1. 소개 + 사업서비스 1.1 노스웨스트 내추럴 홀딩 소개 1859년 설립된 노스웨스트 내추럴 홀딩스는 포클랜드, 오리건에 본사를 두고 미국에서 천연가스를 유통사업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
finf.tistory.com
Reference - 키움증권, 연합인포맥스, 야후파이낸스, 구글금융, 시킹알파, S&P
'미국배당주_배당킹'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주식/배당킹] 코카콜라 (KO) 기업분석, 주가, 전망, 배당분석, 분기배당 (17) | 2022.11.28 |
---|---|
[미국주식/배당킹] 쓰리엠3M (MMM) 기업분석, 주가, 전망, 배당분석, 분기배당 (6) | 2022.11.22 |
[미국주식/배당킹] 애브비 (ABBV) 기업분석, 주가, 전망, 배당정보, 분기배당 (5) | 2022.11.11 |
[미국주식/배당킹] 스탠리 블랙 앤 데커 (SWK) 기업분석, 주가, 전망, 배당분석, 분기배당 (4) | 2022.11.10 |
[미국주식/배당킹] 노스웨스트 내추럴 홀딩 (NWN) 기업분석, 주가, 전망, 배당분석 (7) | 2022.11.08 |